맨위로가기

레오폴 세다르 상고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오폴 세다르 상고르는 세네갈의 시인이자 정치가로, 세네갈의 초대 대통령을 역임했다. 그는 프랑스 유학 중 흑인성을 뜻하는 '네그리튀드' 개념을 주창하며 아프리카 문화의 정체성을 강조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후 정치 활동을 시작하여 세네갈 독립에 기여했다. 1960년 세네갈 대통령에 당선되어 다당제 도입, 교육 시스템 구축 등 국가 발전에 힘썼으며, 프랑코포니 국제기구 창설을 지지했다. 1980년 퇴임 후 프랑스 학술원 회원이 되었으며, 2001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티에스주 출신 - 카라 음보지
    카라 음보지는 세네갈 국적의 축구 선수로, 수비수로서 여러 클럽을 거쳐 세네갈 국가대표팀으로 올림픽,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FIFA 월드컵에 출전했으며, 클럽과 국가대표팀에서 다양한 경력을 쌓았다.
  • 레오폴 세다르 상고르 - 세네갈의 국가
    세네갈의 국가는 아프리카의 단결, 민족의 화합, 미래에 대한 희망, 평화 수호 의지를 담아 아프리카 대륙의 통합과 세네갈 국민의 단결을 강조하는 노래이다.
  • 레오폴 세다르 상고르 - 레오폴 세다르 상고르 국제공항
    레오폴 세다르 상고르 국제공항은 세네갈 다카르에 위치한 국제공항으로, 과거 유럽과 남미를 잇는 주요 항로의 중간 기착지 및 우주왕복선 착륙 지점으로 활용되었으나, 현재는 정기 여객 운항이 중단되고 전세기와 화물 서비스만 제공한다.
레오폴 세다르 상고르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레오폴 세다르 상고르
출생일1906년 10월 9일
출생지프랑스령 서아프리카 조알파디우트 (현재의 세네갈)
사망일2001년 12월 20일
사망지프랑스 베르송
종교로마 가톨릭교회
배우자
; 그의 죽음
직업
직업시인, 문화 이론가, 정치인
정치 경력
소속 정당세네갈 사회당
대통령 임기 시작1960년 9월 6일
대통령 임기 종료1980년 12월 31일
총리마마두 디아
압두 디우프
대통령 전임직책 신설
대통령 후임압두 디우프
군사 경력
군대프랑스 식민지 육군
복무 기간1939년–1942년
계급2등 사병
부대제59 식민 보병 사단
전투제2차 세계 대전
프랑스 전투
학력
출신 학교파리 대학교
서명

2. 어린 시절과 교육 (1906년 ~ 1928년)

레오폴 세다르 상고르는 1906년 10월 9일 다카르에서 남쪽으로 100여 킬로미터 떨어진 작은 해변 마을인 조알에서 태어났다. 레오폴의 아버지 바실레 디오고예 상고르(Basile Diogoye Senghor)는 세레르족 출신의 중산층 사업가였다. 레오폴의 어머니 그닐레인 은디엠 바쿠(Gnilane Ndiémé Bakhou)는 바실레의 세 번째 아내였으며 풀라니족 출신의 무슬림 집안에서 태어났다. 그녀는 바실레와의 사이에서 2명의 아들과 4명의 딸을 낳았다. 상고르는 아버지로부터 Senghor(포르투갈어로 Sir에 해당하는 단어)라는 성을 물려받았고, 어머니로부터 Sedar(세레르어로 "모욕을 당하지 않는 자")라는 이름을 물려받았다.[6][7]

상고르는 8세 때 세네갈 북부 응가소빌에 위치한 "성령의 아버지들(Fathers of the Holy Spirit)"이라는 기숙 학교에 입학했다. 1922년에는 다카르에 있는 신학교에 입학하지만, 신앙생활이 자신과 어울리지 않음을 깨닫고 일반 학교로 전학했다.

그 무렵 그는 이미 프랑스 문학에 열광하고 있었고 프랑스어, 라틴어, 그리스어 및 대수학에 뛰어난 모습을 보였다. 졸업 이후 그는 장학생 신분으로 공부를 계속하기 위해 프랑스로 떠났다.[11]

3. 프랑스 유학과 문학 활동 (1928년 ~ 1944년)

1928년 상고르는 세네갈을 떠나 프랑스로 유학을 떠났는데, 그는 이 시기를 "16년간의 방황"이라고 표현했다.[12] 소르본 대학교에서 공부를 시작했지만 곧 그만두고 루이르그랑 고등학교에서 고등사범학교 입학을 위한 예비 과정을 마쳤다.[1] 이 과정에서 앙리 케펠렉, 로베르 베르디에, 조르주 퐁피두 등과 함께 공부했다. 고등사범학교 입학 시험에는 실패했지만, 1935년 두 번째 시도 끝에 문법 아그레가시옹 자격을 취득했다.[13]

파리 대학교를 졸업하고 프랑스 문법 아그레가시옹 자격을 취득한 상고르는 1935년부터 10년간 투르와 파리의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했다.[14] 투르의 르네 데카르트 고등학교와 파리 근교 생모르데포세의 마르셀랭 베르토 고등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쳤다.[15] 또한 고등연구실천학교에서 릴리아스 옴버거에게 언어학을 배웠고, 마르셀 코헨, 마르셀 모스, 폴 리베 등 저명한 사회 과학자들에게서 가르침을 받았다.[16]

상고르는 프랑스 유학 시절, 식민지 출신 아프리카 지식인들과 교류하며 프랑스 사회에 만연한 인종차별에 저항하고 아프리카 문화의 가치를 재조명하는 네그리튀드 운동을 주도했다.

3. 1. 네그리튀드 운동

상고르는 에메 세제르(Aimé Césaire)와 레옹 다마(Léon Damas)와 함께 아프리카의 독창적인 특징, 가치, 철학 등을 형상화하는 네그리튀드(Négritude) 개념을 만들었다.[16] 이는 프랑스 식민지에 프랑스 문화가 지나치게 침투하는 것에 대한 반발이자, 아프리카가 유럽에 필적할 만한 문화 발전을 이루지 못했다는 선입견에 대한 반발이었다.

상고르는 당시 식민지 수도에서 교육받던 여러 아프리카계 지식인들과 함께 흑인에 대한 새로운 개념을 고안했다. 그가 고안한 "네그리튀드"("négritude")는 프랑스어에서 흑인을 경멸하는 표현인 "네그르"("nègre")를 아프리카 문화 찬양으로 의미를 바꾼 것이다.[16] "네그리튀드"는 현재까지도 프랑스에서 벌어지는 흑인 인종차별에 대한 반발을 의미하며, 상고르의 문화 비평과 문학 작품뿐만 아니라 정치 신념에도 영향을 주었다.[16]

상고르는 유럽 문화의 뿌리가 고대 이집트의 흑인 문화에서 기인한다고 보았다. 그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와 유럽이 같은 문화적 연속선상에 있으며, 이집트에서 기원한 문화가 그리스, 로마를 거쳐 현대 유럽으로 전파되었다고 주장했다.

네그리튀드 사상은 반백인주의를 표방하지 않으며, 다양성과 다른 문화 간의 교류를 강조한다.

자이르 공화국 대통령 모부투 세세 세코는 이와 비슷한 개념으로 "오센티시트"(authenticité)를 주창하기도 했다.

3. 2.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1939년, 상고르는 고등 교육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프랑스 육군의 제3 식민지 보병 연대에 사병으로 입대했다.[17] 1년 뒤인 1940년 6월, 침략한 독일군은 그를 라 샤리테 쉬르 루아르 또는 빌라봉에서 포로로 잡았다. 그는 여러 수용소에 갇혔고, 마지막으로 푸아티에의 Front Stalag 230에 수감되었다. Front Stalag 230은 전쟁 중 포로로 잡힌 식민지 군인들을 위해 마련되었다.[17] 상고르에 따르면, 독일 군인들은 그와 다른 사람들을 체포된 날 처형하려 했지만, 그들은 "프랑스 만세, 흑 아프리카 만세!"를 외침으로써 이 운명을 피했다. 한 프랑스 장교는 군인들에게 아프리카 포로들을 처형하는 것은 아리아 인종과 독일군을 불명예스럽게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상고르는 총 2년 동안 여러 수용소에서 시간을 보냈으며, 그곳에서 그는 대부분의 시간을 시를 쓰고 괴테의 시를 원어로 읽을 수 있을 정도로 독일어를 배우는 데 썼다.[18] 1942년, 그는 건강상의 이유로 석방되었다.[19]

그는 나치 점령 기간 동안 레지스탕스 활동을 계속하면서 교직에 복귀했다.

4. 정치 경력 (1945년 ~ 1982년)

1947년, 상고르는 프랑스 노동자 인터내셔널 분과(SFIO)에서 나와 마마두 디아와 함께 1948년 세네갈 민주 블록(BDS)을 창당했다.[27] 1951년 총선에서 승리하여 라민 구예는 의원직을 잃었다.[28] 상고르는 제4공화국 헌법 협상 및 초안 작성에 참여했다.[29]

1951년 재선된 상고르는 1955년 3월 1일부터 1956년 2월 1일까지 에드가 포르 정부에서 국무장관을 지냈다. 1956년 11월 티에스 시장이 되었고, 1959년 7월 23일부터 1961년 5월 19일까지 미셸 드브레 정부에서 자문 장관을 역임했다. 제5공화국 헌법 초안 작성 위원, 세네갈 일반 의회 의원, ''서아프리카 프랑스령 대의회''(Grand Conseil de l'Afrique Occidentale Francaise) 위원, 유럽 평의회 의원을 역임했다.

1964년, 다양한 연설, 에세이, 서문을 담은 5권 시리즈의 첫 권 ''자유(Liberté)''를 출판했다.[30]

4. 1. 프랑스 식민지 의회 활동

전쟁이 끝나자, 상고르는 1960년 세네갈이 독립할 때까지 국립 해외 프랑스 학교의 언어학과 학장으로 선출되었다.[21] 시를 연구하기 위해 여행하던 중 지역 사회주의 지도자 라민 구예를 만나 프랑스 국민 의회 의원으로 선거에 출마할 것을 제안받았다. 상고르는 이를 받아들여 세네갈-모리타니 지역구의 '데퓌테'(의원)가 되었다. 그들은 다카르-니제르 노선의 열차 승무원들이 파업을 벌였을 때 서로 다른 입장을 취했다. 구예는 파업이 식민지를 마비시킬 것이라고 주장하며 파업에 반대 투표를 한 반면, 상고르는 노동자들을 지지하여 세네갈인들 사이에서 큰 지지를 얻었다.[22]

1946년 프랑스 헌법 제정 협상 과정에서 상고르는 모든 프랑스 영토에 프랑스 시민권을 확대할 것을 추진했다. 1916년부터 4개의 세네갈 코뮌이 시민권을 가지고 있었는데, 상고르는 이를 프랑스 영토 전체로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23] 상고르는 각 아프리카 영토가 자체적인 내부 문제를 관리하고, 이 연방이 외교, 국방 및 개발 정책을 운영하는 더 큰 프랑스 연방의 일부가 되는 연방 모델을 주장했다.[24][25] 상고르는 토착 민족주의에 반대하며, 각 영토가 프랑스의 경험과 자원과 더불어 그 자체의 "흑인-아프리카적 개성"을 갖는 연방 모델 내에서 아프리카 영토가 더 성공적으로 발전할 것이라고 주장했다.[26]

1946년 펠릭스 에부에 (Félix Éboué)의 딸과 결혼하여 두 아들 (프랑시스, 가이)를 얻었다. 다음 해 그는 사회주의 운동에 많은 재정적 지원을 주었던 프랑스 사회주의 인터내셔널 아프리카 지부(African Division of the French Section of the Workers International, SFIO)를 탈퇴한다. 1948년 마마두 디아(Mamadou Dia)와 함께 세네갈 민주당을 창설했고 1951년 국회의원 선거에서 승리한다.

1951년 식민지 의석으로 할당된 국회의원으로 재선된 상고르는 프랑스의 국무총리 에드가 파레 아래에서 1955년 3월 1일부터 1956년 2월 1일까지 주 장관을 겸임한다. 또한 그는 프랑스 5공화국 헌법의 초안을 작성하는 위원회에 세네갈 측 고문으로 참여하였으며 유럽 의회의 의원으로 참여하기도 했다.

1957년 첫 번째 부인과 이혼한 이후 프랑스 국적의 노르망디 출신 콜레테 위베르트(Colette Hubert)와 재혼하여 아들 필리페 마귈렌(Philippe Maguilien)을 얻는다. 1964년에는 5권으로 이루어진 "자유(Liberté)"라는 제목의 책의 첫 번째 권을 펴내는데 이 책은 다양한 연설문과 훈시, 에세이 등을 담고 있다. 상고르는 프랑스 제국 내 아프리카 통합을 옹호하며, 작고 약한 영토의 독립은 억압을 영속화할 것이라고 주장하는 반면, 연방 프랑스 제국 내 아프리카의 권한 강화는 제국을 더 나은 방향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고 주장했다.[20]

4. 2. 세네갈 독립과 대통령 취임

상고르는 새로 독립한 아프리카 국가들을 위한 연방주의, 일종의 "프랑스 연방"을 지지했다.[31] 그러나 아프리카 국가들이 연방주의를 선호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는 모디보 케이타와 함께 옛 프랑스 수단 (현재의 말리)과 말리 연방을 결성하기로 결정했다.[31] 상고르는 1960년 연방이 해체될 때까지 연방 의회 의장을 역임했다.[33]

독립 기념일, 1962년 4월 4일, 레오폴 세다르 상고르 대통령(왼쪽 안경)이 행진을 지켜보고 있다.


이후 상고르는 1960년 9월 5일 선출되어 세네갈 공화국의 초대 대통령이 되었다. 그는 세네갈 국가의 작사가이기도 하다. 마마두 디아 총리는 세네갈의 장기 개발 계획 실행을 책임졌고, 상고르는 외교를 담당했다. 두 사람은 곧 의견 충돌을 겪었다. 1962년 12월, 마마두 디아는 '쿠데타'를 조장한 혐의로 체포되어 12년 동안 감옥에 갇혔다. 이 사건 이후 상고르는 모든 경쟁 정당을 억압하는 권위주의적 대통령 체제를 수립했다.[34][35][36] 상고르는 세네갈에서 언론의 자유를 엄격하게 제한하고 1970년 국영 신문인 ''르 솔레이''를 창간했다.[37]

1967년 3월 22일, 상고르는 암살 시도를 간신히 피했다.[38] 용의자 무스타파 로는 타바스키 설교에 참여한 후 대통령을 향해 권총을 겨눴지만, 총은 발사되지 않았다. 로는 반역죄로 사형 선고를 받고 1967년 6월 15일에 처형되었는데, 그가 실제로 상고르를 죽이려 했는지 여부는 불분명했다.[39]

1980년 12월 초 발표에 따라[40] 상고르는 5번째 임기를 마치기 전에 연말에 사임했다. 압두 디우프가 그의 뒤를 이어 국가 수장이 되었다. 상고르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세네갈은 다당제 (세 정당으로 제한: 사회당, 공산당, 자유당)를 채택했다.[41] 그는 뛰어난 교육 시스템을 만들었다. 공식적인 식민지 시대가 끝났음에도 불구하고, 세네갈 통화의 가치는 프랑스에 의해 계속 고정되었고, 학습 언어는 프랑스어로 유지되었으며, 상고르는 프랑스 정치 고문들과 함께 국가를 통치했다.

4. 3. 세네갈의 안정과 발전

상고르는 새로 독립한 아프리카 국가들 간의 연방체인 "프랑스 연방"을 지지했지만, 이 구상은 큰 호응을 얻지 못했다. 그럼에도 그는 옛 프랑스령 수단에서 독립한 말리모디보 케이타와 함께 연방체를 조직, 1960년 연방이 해체될 때까지 연방 의회 의장을 역임했다.[33] 이후 1960년 9월 5일 대통령 선거를 통해 세네갈의 초대 대통령으로 취임했으며, 세네갈의 국가를 작사하기도 했다.[34]

마마두 디아 총리가 세네갈의 장기 발전 계획을, 상고르는 외교를 담당했으나, 곧 의견 충돌이 발생했다. 1962년 12월, 마마두 디아는 쿠데타 혐의로 체포되어 12년 동안 감옥에 갇혔다.[34] 이 사건 이후 상고르는 모든 경쟁 정당을 억압하는 권위주의적 대통령 체제를 수립했다.[35][36] 1967년 3월 22일에는 암살 시도를 모면하기도 했다.[38]

1980년, 상고르는 5번의 임기를 마치고 대통령직에서 물러났으며, 압두 디우프가 뒤를 이었다. 상고르 재임 기간 동안 세네갈은 다당제(사회주의, 공산주의, 민주주의 3가지 정당으로 제한)를 채택하고 교육 체계를 정비했다.[41] 프랑스의 식민 통치가 끝났음에도 세네갈의 환율은 프랑스에 의해 조정받았고, 공식 언어는 프랑스어가 유지되었으며, 프랑스인 조언자들의 도움을 받아 통치하였다.

5. 프랑코포니와 아카데미 프랑세즈 (1982년 ~ 2001년)

상고르는 프랑코포니 창설을 지지하였으며 프랑코포니 고위 평의회 부회장으로 선출되었다.[42]

1982년 그는 변화를 겪고 있는 개발도상국의 문제에 대한 관심을 촉구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프랑스 및 개발도상국 협회의 창립 멤버 중 한 명이었다.[42] 1983년 6월 2일, 프랑스 학술원 회원으로 선출되었으며, 16번 의석에서 앙투안 드 레비 미르푸아의 뒤를 이었다. 그는 학술원의 회원이 된 최초의 아프리카인이었다.[19] 그의 입회식은 프랑스 대통령 프랑수아 미테랑이 참석한 가운데 1984년 3월 29일에 거행되었다. 이는 이전 마르그리트 유르스나르의 여성 회원 선출에 이어 학술원의 더 큰 개방을 향한 발걸음으로 여겨졌다.

1993년에는 ''리베르테'' 시리즈의 마지막이자 다섯 번째 책인 ''리베르테 5: 문화 간의 대화''가 출판되었다.

6. 사망과 유산 (2001년)

그는 말년을 노르망디 근교 베르송에서 아내와 함께 보냈다. 2001년 12월 20일 그곳에서 사망하였고, 그의 장례식은 2001년 12월 29일 다카르에서 거행되었다.[50] 장례식에는 프랑스 국민 의회 의장 레이몽 포르니와 프랑스어권 담당 외무부 장관 샤를 조슬랭이 참석했다. 자크 시라크 프랑스 대통령은 상고르의 죽음에 대해 "시는 명인을 잃었고, 세네갈은 대변인을 잃었으며, 아프리카는 몽상가를 잃었고, 프랑스는 친구를 잃었다"라고 표현했다.[50]

2006 몰도바 기념 우표


상고르는 1946년 9월 9일에 펠릭스 에부에의 딸인 지네트 에부에(1923년 3월 1일 ~ 1992년)와 결혼했다가[47][48] 1955년에 이혼했다. 그들은 두 아들(1947년에 프란시스, 1948년에 가이)을 두었다. 그의 두 번째 부인은 프랑스 출신인 콜레트 위베르 [fr] (1925년 11월 20일 ~ 2019년 11월 18일)로,[49] 1960년 독립 이후 세네갈의 초대 영부인이 되었다. 상고르는 두 번의 결혼 사이에서 세 아들을 두었다.[48]

자크 시라크리오넬 조스팽은 각각 프랑스 대통령과 프랑스 총리였지만, 상고르의 장례식에 참석하지 않은 것은 그가 생전에 이룬 업적에 대한 인정 부족으로 여겨져 논란을 일으켰다. 이는 프랑스 해방에 기여한 세네갈 티레일러가 프랑스군과 동일한 연금을 받기까지 40년 이상을 기다려야 했던 것에 비유되었다. 학자 에릭 오르세나는 신문 ''르 몽드''에 "J'ai honte"(나는 부끄럽다)라는 제목의 사설을 썼다.[51]

레오폴 세다르 상고르는 사회주의자였지만, 탈식민지 아프리카에서 인기를 얻었던 마르크스주의와 반서방 이념을 피하고 프랑스와 서방 세계와의 긴밀한 관계 유지를 선호했다. 상고르 대통령 재임 기간은 아프리카 사회주의의 발전으로 특징지어졌으며, 이는 마르크스주의에 대한 토착적 대안으로 창조되었고, ''네그리튀드'' 철학에 크게 의존했다. 이 과정에서 그는 우스만 타노르 디엥의 도움을 받았다. 1980년 12월 31일, 그는 국무총리인 압두 디우프에게 권력을 이양하며 은퇴했다.

정치적으로도 오늘날 상고르의 흔적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세네갈의 경우, 압두 디우프에게 권력을 자발적으로 이양한 것은 디우프의 평화로운 퇴임으로 이어졌다. 세네갈과 프랑스의 특별한 관계와 경제적 유산은 더욱 논쟁의 여지가 많지만, 상고르의 민주주의에 대한 영향력은 여전히 남아있다. 상고르는 바쁜 삶 속에서도 시인이자 정치인으로서의 정체성을 유지하며, 상반된 힘 사이의 균형을 이루는 자신의 철학을 실천했다. 프랑스와 아프리카, 시와 정치, 또는 그의 정체성의 다른 이질적인 부분들 사이에서 상고르는 균형을 이루었다.

문학적으로 상고르의 정치 사상과 시적 형식에 대한 영향력은 현대까지 광범위하게 미치고 있다. 상고르의 시는 네그리튀드 운동의 정점을 포착하면서도 문학사에서 결정적인 위치를 차지하며 "특정 시대의 개인적 감수성을 기록"하는 것으로 남아있다.[52] 상고르는 랭스턴 휴즈와 같은 미국의 시인들에게 깊은 영향을 받았다.[53] 세네갈 시인이 사망한 후, 아카데미 프랑세즈의 16번 좌석은 공석이 되었다. 결국 그는 또 다른 전 대통령인 발레리 지스카르 데스탱으로 교체되었다.

레오폴 세다르 상고르 국제공항, 레오폴 세다르 상고르 경기장, 레오폴 세다르 상고르 다리는 상고르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7. 작품 목록


  • 〈가면에게 드리는 기도〉 (c. 1935 – 1940년대에 작품집에 수록)
  • 〈그림자의 노래〉 (Chants d'ombre, 1945)
  • 〈검은 성찬〉 (Hosties noires, 1948)
  • 〈신 흑인 및 말라가시 시 선집〉 (Anthologie de la nouvelle poésie nègre et malgache, 1948)
  • 〈레우-레-리에브르의 아름다운 이야기〉 (1953)
  • 에티오피아〉 (Ethiopiques, 1956)
  • 〈야상곡〉 (Nocturnes, 1961)
  • 〈국가와 아프리카 사회주의의 길〉 (1961)
  • 〈피에르 테야르 드 샤르댕과 아프리카 정치〉 (1962)
  • 〈시〉 (1964)
  • 〈겨울 편지〉 (Lettres de d'hivernage, 1973)
  • 〈주요 비가〉 (Elégies majeures, 1979)
  • 〈행동의 시: 모하메드 아지자와의 대화〉 (La poésie de l'action : conversation avec Mohamed Aziza, 1980)
  • 〈내가 믿는 것〉 (Ce que je crois, 1988)

8. 서훈 및 수상

상고르는 일생동안 여러 훈장을 받았다. 예술과 문학 증진에 기여한 공로로 프랑스 최고 훈장인 레지옹 도뇌르 훈장 그랑크루아와 국가 공로 훈장 그랑크루아를 받았다. 세네갈의 사자 훈장 그랑크루아도 받았다. 1939년부터 1945년까지의 전쟁에서 세운 공훈으로 1939-1945 프랑스-연합군 공로 훈장과 1939-1945 참전 십자 훈장을 받았으며, 37개 대학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54]

1978년에는 스페인의 이사벨라 가톨릭 훈장 칼라 기사로 임명되었다. 기사 이상 훈격의 훈장 수훈자는 개인 귀족 지위를 누리며 문장에 금색 문장을 추가할 수 있는 특권이 주어졌다. 칼라 훈격의 수훈자는 공식적으로 "그분 또는 그녀의 가장 훌륭하신 주님"이라는 호칭을 받는다.[55][56]

연도수여 내용
1968년독일 서적 협회 평화상
1971년페르시아 제국 건국 2500주년 기념 기념 메달[54]
1975년스트루가 시의 밤 금관상
1978년살라망카 대학교 명예 학위
1978년치노 델 두카 세계상
1983년튀빙겐 대학교 Dr. Leopold Lucas Prize[57]
1994년아프리카 연구 협회 평생 공로상[58] (수상 자격 논란[59])



레오폴 세다르 상고르, 살라망카 대학교에서 명예 학위를 받다

9. 같이 보기

10. 역대 선거 결과

선거명직책명대수정당득표율득표수결과당락
1963년 선거세네갈의 대통령1대세네갈 진보연합100.00%1,149,935표1위
1968년 선거세네갈의 대통령1대세네갈 진보연합100.00%1,229,927표1위
1973년 선거세네갈의 대통령1대세네갈 진보연합100.00%1,357,056표1위
1978년 선거세네갈의 대통령1대세네갈 사회당82.20%807,515표1위


참조

[1] 논문 Perspectives on Leopold Senghor and the Changing Face of Negritude https://www.jstor.or[...] 1976
[2] 간행물 Bibliographie Bureau de documentation de la Présidence de la République 1982
[3] 서적 African History: Western African History
[4] 웹사이트 Senegalaisement.com Senegalaisement.com
[5] 서적 The Concept of Negritude in the Poetry of Leopold Sedar Senghor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5-03-08
[6] 문서 Université De La Vallée D'Aoste. LÉOPOLD SÉDAR SENGHOR (1906–2001)
[7] 간행물 "La Nomination Sereer" 1991
[8] 간행물 "La Religiousite des Sereer, Avant et Pendant Leur Islamisation" 1991
[9] 간행물 Le Gabou Dans Les Traditions Orales Du Ngabou 1981
[10] 간행물 Histoire du Sine-Saloum 1986–1987
[11] 서적 'Major 20th-Century Writers: a selection of sketches from contemporary authors' Gale Research 1991
[12] 서적 'A Dance of Masks: Senghor, Achebe, Soyinka' Three Continents Press 1978
[13] 서적 'Black, French, and African: a life of Léopold Sédar Senghor' Harvard University Press 1990
[14] 서적 'The World Book Encyclopedia' World Book 2000
[15] 서적 'Leopold Sedar Senghor: Africanity – universality: 29–30 May 2000' Harmattan 2002
[16] 서적 'Becoming Black: Creating Identity in the African Diaspora' Duke University Press 2004
[17] 논문 Léopold Sédar Senghor prisonnier de guerre allemand: Une nouvelle approche fondée sur un texte inédit https://www.jstor.or[...] 2014
[18] 서적 The fate of Africa : from the hopes of freedom to the heart of despair : a history of fifty years of independence https://www.worldcat[...] Public Affairs 2005
[19] 서적 'Encyclopedia of the Peoples of Africa and the Middle East' Infobase Publishing 2009
[20] 서적 Africa in the World: Capitalism, Empire, Nation-State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4
[21] 문서 'Selected Poems of Leopold Sedar Senghor' CUP Archive
[22] 서적 'Léopold Sédar Senghor: an intellectual biography' Edinburgh University Press 1971
[23] 서적 Africa in the World: Capitalism, Empire, Nation-State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4
[24] 서적 Africa in the World: Capitalism, Empire, Nation-State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4
[25] 서적 'Empires in World History: Power and the Politics of Difference'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0
[26] 서적 Africa in the World: Capitalism, Empire, Nation-State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4
[27] 논문 Senghor's Rise to Power 1948–1951. Early Roots of French Sub-Saharan Decolonisation https://www.cambridg[...] 1999
[28] 서적 'African One-Party States' Cornell University Press 1964
[29] 논문 Universal Suffrage as Decolonization https://www.cambridg[...] 2021
[30] 서적 'Twentieth-century French poetry: a critical anth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31] 웹사이트 The Politics of Decolonization in French and British West Africa https://oxfordre.com[...] 2018-01-24
[32] 서적 Africa since Independence: A Comparative History Palgrave-MacMillan 2004
[33] 간행물 Africa Digest Africa Publications Trust 1960
[34] 서적 'Human Rights Law in Africa 1998' Martinus Nijhoff Publishers 2001
[35] 서적 Africa in the World: Capitalism, Empire, Nation-State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4
[36] 웹사이트 The Senghor myth https://africasacoun[...] 2022-05-01
[37] 서적 Propaganda in Autocracies: Institutions, Information, and the Politics of Belief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3
[38] 서적 Senegal: an African nation between Islam and the West Westview Press 1995
[39] 웹사이트 Retour sur la tentative d'assassinat de Senghor et le meurtre de Demba Diop en 1967 : Quand la peine de mort était encore une réalité au Sénégal http://www.loffice.s[...] 2011-06-28
[40] 뉴스 President Leopold Senghor to Retire Liberian Inaugural 1980-12-03
[41] 서적 Voting for reform: democracy, political liberalization, and economic adjustment World Bank Publications 1994
[42] 서적 Pan-African History: Political Figures from Africa and the Diaspora Since 1787 Routledge 2003
[43] 서적 Emerging World Law, Volume 1 Institute for Economic Democracy
[44] 웹사이트 Letters from Thane Read asking Helen Keller to sign the World Constitution for world peace. 1961 https://www.afb.org/[...] American Foundation for the Blind 2023-07-01
[45] 웹사이트 Letter from World Constitution Coordinating Committee to Helen, enclosing current materials https://www.afb.org/[...] American Foundation for the Blind 2023-07-03
[46] 웹사이트 Preparing earth constitution {{!}} Global Strategies & Solutions {{!}} The Encyclopedia of World Problems http://encyclopedia.[...] 2023-07-15
[47] 웹사이트 Ginette Charlotte Andrée Yvonne Eboué épouse Senghor - les Français Libres http://www.francaisl[...]
[48] 뉴스 Léopold Senghor https://www.telegrap[...] 2012-04-06
[49] 웹사이트 Au Sénégal, dernier hommage à Colette Senghor, épouse et muse de l'ancien président https://www.france24[...] 2019-11-28
[50] 뉴스 Africa mourns Senegal's Senghor http://news.bbc.co.u[...] BBC News 2008-08-13
[51] 웹사이트 J'ai honte, par Erik Orsenna http://www.sangonet.[...] 2024-02-07
[52] 간행물 Homage to Léopold Sédar Senghor: 1906-2001 https://www.jstor.or[...] 2020-12-06
[53] 간행물 Homage to Léopold Sédar Senghor: 1906-2001 https://www.jstor.or[...] 2020-12-06
[54] 웹사이트 Grand State Banquet http://badraie.com/g[...]
[55] 문서 article 13, Reglamento de la Orden Isabella la Católica (1998)
[56] 웹사이트 Boletín Oficial del Estado. http://www.boe.es/bo[...]
[57] 서적 Dialog zwischen religiosen Traditionen in einem Zeitalter der Relativitat Mohr-Siebeck 2011
[58] 웹사이트 Distinguished Africanist Award 2009 http://www.africanst[...] African Studies Association
[59] 뉴스 Literature: Award to Senghor Triggers Debate 1995-04-18
[60] 웹사이트 Découvrez des lieux uniques, vivez une expérience inoubliable http://www.aeroportd[...] 2024-02-07
[61] 서적 Indian English and the Fiction of National Literatur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62] 웹사이트 Ministère de l'Éducation Nationale https://gallica.bnf.[...] 2023-09-10
[63] 간행물 Sengor u Ohridu i Strugi https://arhiv.slobod[...] 1975-09-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